맨위로가기

베틀렌 가보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틀렌 가보르는 17세기 트란실바니아 공국의 공작으로, 헝가리 베틀렌 가문의 일원이었다. 그는 칼뱅주의 신봉자로서 종교 개혁에 기여했으며, 30년 전쟁 기간 동안 합스부르크 왕가에 대항하여 군사 행동을 벌였다. 오스만 제국과 서유럽 프로테스탄트 국가들과의 외교를 통해 세력을 확장했으며, 계몽 전제주의 통치를 펼치며 광산 개발, 산업 국유화, 학문 장려 등의 정책을 시행했다. 1613년 트란실바니아 공으로 즉위하여 통치했으며, 1629년 사망 후 그의 두 번째 부인인 카타리나 폰 브란덴부르크가 뒤를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네도아라주 출신 - 페트루 그로자
    페트루 그로자는 루마니아의 정치인으로, 제2차 세계 대전 후 소련의 지원을 받아 총리 및 국가평의회 의장으로서 권력을 행사하며 공산주의 체제 강화, 정적 제거 등의 행보를 보였으나, 언론 탄압과 정치적 탄압으로 독재 정권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 17세기 헝가리 사람 - 카타리나 폰 브란덴부르크
    브란덴부르크 선제후의 딸 카타리나 폰 브란덴부르크는 트란실바니아 공비이자 여공이 되었으나, 남편 사후 가톨릭 교회 지원과 귀족 반발로 1년 만에 권력을 잃고 가톨릭으로 개종 후 독일로 돌아갔다.
  • 17세기 헝가리 사람 - 바토리 에르제베트
    바토리 에르제베트는 젊음 유지를 위해 수많은 여성을 고문하고 살해한 혐의로 악명 높은 헝가리 왕국 귀족 출신 인물로, "피의 백작부인"이라는 별칭과 흡혈귀 전설과의 결합으로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기네스 세계 기록은 그녀를 역사상 가장 많은 여성을 살해한 연쇄 살인범으로 기록한다.
  • 1629년 사망 - 양호 (명나라)
    양호는 명나라의 군인이자 관료로, 임진왜란 당시 경리로서 조선에 파병되었으며, 요동 경략으로 후금 토벌에 나섰으나 사르후 전투에서 패배하여 처형되었다.
  • 1629년 사망 - 모문룡
    모문룡은 명나라 말기 군인으로, 후금에 맞서 요동에서 의병을 일으키고 가도에 동강진을 설치하여 후금의 배후를 교란했으나, 군량 강요 징수와 부정부패로 원숭환에게 참수되어 그의 죽음은 후금 세력 확장에 기여하고 부하들의 청나라 투항을 초래했다.
베틀렌 가보르 - [인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베틀렌 가보르
헝가리어 이름Bethlen Gábor
다른 이름베틀렌 가보르 데 이크타르 (Bethlen Gábor de Iktár)
출생1580년
출생지[[File:Flag of Transylvania before 1918.svg|border|25px]] 트란실바니아 공국, 마로시이예 (현 루마니아 이리아)
사망1629년 11월 15일 (49세)
사망지[[File:Flag of Transylvania before 1918.svg|border|25px]] 트란실바니아 공국, 줄라페헤르바르 (현 루마니아 알바 이울리아)
종교칼뱅파
베틀렌 가보르
베틀렌 가보르
통치 정보
군주헝가리 왕
재위 기간1620년 8월 25일 ~ 1621년 12월 31일
이전 군주마티아스 2세
다음 군주페르디난트 2세
군주2트란실바니아 공
재위 기간21613년 10월 ~ 1629년 11월 15일
이전 군주2가브리엘 바토리
다음 군주2카타리나
군주3오폴레 공작
재위 기간31622년 ~ 1625년
이전 군주3지그문트 바토리
다음 군주3브와디스와프 바사
가족 정보
배우자카타리나 폰 브란덴부르크
가문베틀렌 가문
서명
기타 정보
참여 전투후멘네 전투
체초라
에르셰크우이바르
관련 반란베틀렌 가보르의 반란

2. 생애

베틀렌 가보르는 헝가리 베틀렌 가문의 이크타리 가 출신으로, 트란실바니아 공국의 머로시예(현재의 루마니아 후네도아라 주 일리아)에서 태어났다. 라자르 성에서 숙부 라자르 언드라시에게 교육받았으며, 왈라키아 공국으로 짧은 여행을 하기도 했다. 칼뱅주의자로서 유대 사회의 성경 번역을 도왔다.[1]

2. 1. 초기 생애

베틀렌 가보르는 1580년 헝가리 베틀렌 가문의 이크타리 가의 일원으로, 트란실바니아 공국의 머로시예(Marosillye, 현재의 루마니아 후네도아라 주 일리아(Ilia))에서 태어났다.[1] 그는 라자르 성에서 숙부인 라자르 언드라시(Lázár András)에게 교육을 받았다.[1] 왈라키아 공국으로 짧게 여행하기도 했었다.[1] 베틀렌 가보르는 칼뱅주의자로 유대 사회의 성경 번역을 돕기도 했다.[1]

가브리엘은 파르카시 베틀렌(Farkas Bethlen de Iktár)과 드루지아나 라자르 드 사르헤기(Druzsiána Lázár de Szárhegy)의 두 아들 중 장남이었다.[2] 1580년 아버지의 영지인 마로실리예에서 태어났다.[2] 파르카시 베틀렌은 헝가리 귀족이었는데, 헝가리 왕국의 중앙 영토에 대한 오스만 점령으로 인해 그의 선대 영지인 이크타르(Iktár, 현재 루마니아 이크타르-부딘츠(Ictar-Budinț)에 위치)를 잃었다.[3] 스테판 바토리 트란실바니아 공은 그에게 마로실리예를 하사하고 그를 공국의 총사령관으로 임명했다.[4] 드루지아나 라자르는 세케이(Székelys) 귀족 가문 출신이었다.[5] 파르카시 베틀렌과 그의 아내는 모두 1591년에 사망하여 두 아들 가브리엘과 이슈트반 베틀렌(Stephen Bethlen)을 고아로 남겼다.[6]

두 형제는 외삼촌인 안드라시 라자르 드 사르헤기(András Lázár de Szárhegy)의 후견 아래 놓였다.[7] 그들은 수년 동안 세케이 지방(Székely Land, 현재 루마니아 라자레아(Lăzarea)에 위치)의 라자르 성(Lázár Castle)에서 살았다.[8] 가브리엘의 궁정 사가인 가스파르 보이티 베레스(Gáspár Bojti Veres)는 라자르를 "심술궂고 맹렬한" 군인으로 묘사했는데, 그는 그들의 정규 교육에 별로 신경 쓰지 않았다.[9]

가브리엘의 현존하는 첫 번째 편지(1593년)에 따르면, 지그몬트 바토리 트란실바니아 공은 1591년 또는 1592년에 보상금 없이 "많은 아첨꾼들의 말"에 따라 형제들의 영지를 몰수했지만, "몇몇 주요 친척들"이 공에게 그들에게 보상 또는 다른 토지를 제공하도록 설득했다.[10] 가브리엘은 또한 그 편지에서 그가 율라페헤르바르(Gyulafehérvár, 현재 루마니아 알바율리아(Alba Iulia)에 위치)에 있는 공의 궁정을 방문하기로 결정했다고 언급했다.[11]

현대 사학자들은 가보르의 젊은 시절 주요 사건들을 재구성하려고 노력하지만, 1593년부터 1602년 사이에 그를 언급한 문서는 두 개뿐이기 때문에 주로 수십 년 후에 쓰인 회고록과 편지에 의존하고 있다.[12] 후대 자료 중 하나는 가보르가 1628년에 쓴 편지로, 그는 보츠카이 이슈트반이 자신을 키웠고 "큰 신임"을 주었다고 밝혔다.[13] 가보르는 또한 보츠카이가 자신의 "친척"이라고 언급했다.[13] 또 다른 중요한 자료는 가보르의 가신인 팔 하포르토니 포로가 쓴 것으로, 가보르가 젊은 시절 "중요하고 영예로운 직책"을 맡고 "매우 힘든 사절 임무"를 수행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러한 자료들을 바탕으로 현대 사학자들은 보츠카이가 지그몬트 바토리의 궁정에서 가보르의 경력을 신장시켰다고 추정하지만, 당시의 어떤 문서에도 그가 왕자의 수행원으로 있었다는 기록은 없다.

지그몬트 바토리는 반 오스만 클레멘스 8세 교황의 신성 동맹에 참여하여 1595년 여름 오스만 영토로 진격했다. 역사학자 요제프 바르차에 따르면, 가보르는 1595년 왈라키아에서 벌어진 지우르지우 전투에서 오스만과 싸우면서 처음으로 전쟁을 직접 경험했다. 일련의 오스만 승리 이후, 바토리는 1597년 실레시아 공국의 오폴레와 라치부르시를 넘겨받는 대가로 퇴위했고, 이로써 신성 로마 제국의 사절들과 루돌프 2세 (헝가리 왕국의 왕이기도 했다)가 트란실바니아를 점령할 수 있게 되었다.

지그몬트 바토리는 퇴위를 후회하고 1598년 8월 트란실바니아로 돌아왔다. 그는 1599년 1월 보츠카이를 프라하로 보내 루돌프와 협상을 시작하게 했다. 학술적 이론에 따르면, 가브리엘 베틀렌은 보츠카이와 함께 프라하를 방문했다. 역사학자 요제프 바르차는 또한 가브리엘이 그 무렵 합스부르크 군주들이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트란실바니아를 방어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달았을 것이라고 말한다. 가브리엘 자신은 특정되지 않은 날짜에 지그몬트 바토리의 수행원으로 프라하를 방문했다고 말했다.

가브리엘은 1599년 지그몬트가 다시 퇴위한 후 폴란드의 지원으로 즉위한 앤드류 바토리(Andrew Báthory)를 지지했다. 왈라키아 공 미하이는 트란실바니아에 침입하여 1599년 10월 8일 셀렌베르크 전투(현재 루마니아 셰림바르(Șelimbăr))에서 앤드류를 패배시켰다. 가브리엘은 전투에서 부상을 입었고, 상처는 천천히 회복되었다. 미하이는 루돌프의 사령관 조르조 바스타(Giorgio Basta)에 의해 트란실바니아에서 축출되었다. 그 후 몇 년 동안 트란실바니아는 바스타의 미지급 용병들과 오스만 제국 및 크림 타타르 군대에 의해 정기적으로 약탈당했다. 가브리엘과 그의 형제 스티븐은 상속받은 영지를 나누었고, 가브리엘은 마로실리예를 받았다. 그들의 합의는 혼란스러운 상황을 언급하며 "이교도 또는 어떤 신 없는 군주 또는 총독"이 가브리엘의 재산을 빼앗을 가능성을 언급한다.

가브리엘은 바스타에 맞서 일어선 트란실바니아 귀족들에게 합류했다. 지그몬트 바토리(다시 트란실바니아로 돌아왔다)는 1602년 6월 가브리엘과 그의 형제에게 아라드 주에 토지를 하사했다. 반란 귀족들의 군대는 1602년 7월 2일 퇴비스(현재 루마니아 테이우슈(Teiuș)) 근처에서 궤멸되었다. 전투 후 그는 마로슈 강을 헤엄쳐 건너 오스만 제국 테메슈바르(현재 루마니아 티미쇼아라(Timișoara))로 도망쳤다. 그는 당시 암브루스 소모지(Ambrus Somogyi)에 따르면, 주요 트란실바니아 귀족들이 모세 세켈리(Moses Székely)을 지지한다는 것을 시사하는 편지를 위조하여 오스만 제국이 세켈리를 지지하도록 설득했다. 1603년 3월 세켈리가 트란실바니아에 침입했을 때 가브리엘은 그의 선봉대 사령관이었다. 세켈리의 군대는 마로슈 강을 따라 대부분의 요새를 정복하고 율라페헤르바르를 포위 공격했다. 포위 공격 중에 왕궁이 불탔다. 세켈리는 5월에 공으로 임명되었지만, 왈라키아 공 라두 셰르반(Radu Șerban)은 7월 17일 바르카로즈뇨(현재 루마니아 르슈노프(Râșnov)) 근처에서 그의 군대를 궤멸시켰다. 세켈리는 전투에서 사망했고, 그의 지지자들(가브리엘 포함)은 오스만 제국으로 도망쳤다.

트란실바니아 난민들은 가브리엘을 그들의 지도자로 여기기 시작했다. 그들은 8월 콘스탄티노플에 사절단을 파견하여 오스만 그랜드 비지어의 허락을 받아 가브리엘을 공으로 선출하고 트란실바니아로의 귀환을 위해 오스만 제국의 지원을 요청했다. 그랜드 비지어는 허락했지만, 난민 중 한 명인 볼디즈사르 실바시(Boldizsár Szilvási)는 난민 그룹이 아닌 트란실바니아 의회에서 공을 선출해야 한다고 지적하며 가브리엘의 선출을 막았다.

2. 2. 트란실바니아 공 즉위

1605년, 베틀렌 가보르는 슈테판 보츠카이와 그의 후계자 가브리엘 바토리(1608~1613)를 지지했다. 베틀렌은 나중에 바토리와 불화하여 오스만 제국으로 도망쳤다.[12]

1613년 바토리가 암살당한 후, 오스만 제국은 베틀렌을 트란실바니아 공으로 임명했고, 이는 1613년 10월 13일 콜로즈바르(클루지-나포카)에서 열린 트란실바니아 의회에서 승인되었다. 1615년 트르나우 조약 이후 베틀렌은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마티아스에 의해 인정받았다.[1]

베틀렌의 통치는 계몽 전제주의 중 하나였다. 그는 광산과 산업을 개발하고 트란실바니아의 많은 대외 무역 부문을 국유화했다. 그의 대리인들은 고정된 가격으로 상품을 구입하여 해외에서 이익을 남기고 판매했다. 그는 수도인 율라페헤르바르(알바유리아)에 새로운 웅장한 궁전을 건설했다. 베틀렌은 예술과 칼뱅주의 교회의 후원자였으며, 프로테스탄트 사제들에게 세습 귀족 작위를 부여했다. 또한 베틀렌 가보르 대학을 설립하여 헝가리 학자와 교사들의 입학을 장려하고 트란실바니아 학생들을 잉글랜드, 네덜란드 공화국독일의 프로테스탄트 공국에 있는 대학으로 보냄으로써 학문을 장려했다. 그는 또한 농노의 자녀들이 교육받을 권리를 보장했다.

2. 3. 반합스부르크 전쟁 (30년 전쟁)

베틀렌 가보르는 30년 전쟁 기간 동안 왕령 헝가리의 합스부르크 가문에 대항하여 여러 차례 군사 행동을 일으켰다.[13] 그는 합스부르크의 전제군주제에 반대하고, 왕령 헝가리 내에서의 신교도 처형 및 비엔나 조약 위반, 그리고 오스만 제국과 합스부르크의 동맹을 저지하기 위해 전쟁에 참전했다.

1619년 8월, 베틀렌은 왕령 헝가리를 침공하여 9월에 코시체를 점령했다. 코시체에서 칼뱅파나 신교도로 개종을 거부한 가톨릭교도들이 순교했는데, 그 중 3명은 가톨릭 교회에서 성인으로 추대되었다.[2] 10월에는 브라티슬라바를 점령하여 헝가리 성왕관을 얻었다. 그러나 진트리히 트런과 함께 비엔나를 점령하지 못하고, 오스트리아-폴란드 연합군에 의해 축출되었다.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베틀렌은 평화 협상을 통해 1620년 1월 체코를 제외한 왕령 헝가리 동쪽의 13개국을 점령하는데 성공했다. 1620년 8월 20일, 베틀렌이 헝가리 왕으로 선출되자 합스부르크 가문과의 전쟁이 재개되었다. 백산 전투에서 체코인들이 패배한 후, 페르디난트 2세는 보헤미아의 신교도를 처형했다. 1621년 5월부터 6월까지 페르디난트 2세는 브라티슬라바를 탈환했다. 베틀렌은 다시 평화 협정을 요구했고, 헝가리 트란실바니아에서 황족임을 인정받았다.

1623년부터 약 3년 간 베틀렌은 반(反)합스부르크 신교도들과 동맹을 맺고 상 헝가리에서 페르디난트에 맞서 싸웠다. 첫 번째 전쟁은 1624년 비엔나 화약으로, 두 번째 전쟁은 프레스부르크 화약으로 종결되었다. 전후 베틀렌은 비엔나 공작과 동맹을 맺어 오스만 제국을 견제하고, 오스트리아 대공과 혼인 동맹을 맺으려 했으나 페르디난트가 이를 거부했다. 비엔나에서 돌아오는 길에 베틀렌은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요한 지기스문트의 딸인 카타리나 폰 브란덴부르크와 결혼했다. 그의 매형은 스웨덴의 왕 구스타브 2세 아돌프였다.

2. 4. 외교 정책

베틀렌 가보르는 오스만 제국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면서도 서유럽의 프로테스탄트 국가들과 동맹을 추구했다. 그는 오스만 제국(Sublime Porte)과의 관계를 유지하면서 북쪽과 서쪽으로 영토 확장을 꾀했다.[1]

30년 전쟁 동안 베틀렌은 왕립 헝가리(1619~1626)의 합스부르크 가문을 공격했다. 그는 합스부르크 가문의 전제정치(autocracy), 왕립 헝가리의 프로테스탄트 박해, 1606년 비엔나 평화 조약 위반, 합스부르크 가문과 오스만 제국 및 상헝가리 총독이었던 게오르그 드루게트(Drugeth)(1633-1661)와의 동맹에 반대했다.[2]

1623년부터 1626년까지 베틀렌은 반합스부르크 프로테스탄트 동맹을 맺고 상헝가리에서 페르디난트 2세에 대항하는 군사 행동을 벌였다. 첫 번째 군사 행동은 비엔나 조약(Peace of Vienna (1624))으로, 두 번째는 프레스부르크 조약(Peace of Pressburg (1626))으로 끝났다. 두 번째 군사 행동 이후, 베틀렌은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는 동맹과 오스트리아 대공녀와의 결혼을 비엔나 궁정에 화해 제안으로 제시했지만, 페르디난트는 그의 제안을 거절했다. 비엔나에서 돌아온 베틀렌은 브란덴부르크의 카타리나(Catherine of Brandenburg)와 결혼했다. 그의 매부는 스웨덴의 구스타프 2세 아돌프(Gustavus Adolphus of Sweden)였다.

2. 5. 종교 정책

베틀렌 가보르는 칼뱅주의 신자였지만, 종교적으로 관용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는 칼뱅주의 교회를 후원하고 프로테스탄트 사제들에게 세습 귀족 작위를 부여했으며,[1] 베틀렌 가보르 대학을 설립하여 헝가리 학자와 교사들의 입학을 장려했다. 또한 트란실바니아 학생들을 잉글랜드, 네덜란드 공화국독일의 프로테스탄트 공국에 있는 대학으로 보내 학문을 장려하고, 농노의 자녀들이 교육받을 권리를 보장했다.

1619년 9월, 베틀렌의 권한 아래 칼뱅주의로 개종하기를 거부한 예수회 사제 마르코 크리제브차닌(Marko Križevcanin), 슈테판 퐁그라츠(Stephen Pongracz) 및 멜키오르 그로데츠키(Melchior Grodecki)가 순교했다.[2] 이들은 나중에 가톨릭 교회에 의해 시성되었다.

1621년 니콜스부르크 조약(Peace of Nikolsburg)을 통해 베틀렌은 헝가리 프로테스탄트에게 종교적 자유를 보장했다.[1]

3. 죽음

베틀렌 가보르의 문장


베틀렌 가보르는 1629년 11월 15일에 사망했다. 그의 두 번째 부인인 카타리나 폰 브란덴부르크가 트란실바니아 여공이 되었다.[1] 그의 첫 번째 부인인 카로이 쥬잔나(Károlyi Zsuzsanna)는 1622년에 사망했다.[2]

베틀렌 가보르는 트란실바니아와 왕령 헝가리를 통일한다는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고 4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3] 사후, 그의 아내 카타리나가 트란실바니아 공으로 선출되었다.[4] 1630년, 카타리나는 퇴위하고, 라코치 가문 출신의 라코치 죄르지 1세가 새롭게 선출되어 베틀렌 가보르와 함께 트란실바니아 전성기를 이끌었다.[5]

베틀렌의 국정 서신은 역사적 자료로 남아 있다.[6] 그는 자신이 살았던 시대의 가장 매력적이고 독창적인 인물 중 한 명이었다.[7] 25번이나 성서를 통독했다고 자랑하는 열렬한 칼뱅파 신자였지만, 종파적인 편견 없이 예수회 수도사 카르디 게르게이에게 자신만의 성서를 번역・인쇄하게 했던 일도 있었다.[8] 베틀렌 가보르는 생애에 걸쳐 당대 최고의 정치가들과 교류했으며, 그의 서간은 가장 중요하고 흥미로운 역사 자료 중 하나이다.[9]

4. 유산

베틀렌 가보르는 그가 살았던 시대에 가장 매력적이고 독창적인 인물 중 한 명이었다. 그는 25번이나 성서를 통독했다고 자랑하는 열렬한 칼뱅파 신자였지만, 종파적인 편견 없이 예수회 수도사 카르디 게르게이에게 자신만의 성서를 번역・인쇄하게 했던 일도 있었다. 베틀렌 가보르는 생애에 걸쳐 당대 최고의 정치가들과 교류했으며, 그의 서간은 가장 중요하고 흥미로운 역사 자료 중 하나이다.

참조

[1] 웹사이트 Az Europai jelenlet alternativai, Bethlen Gabor fejedelemme valasztasanak evfordulojara. http://www.matud.iif[...] 2013-10-15
[2] 서적 Slovak History: Chronology & Lexicon https://books.google[...] Bolchazy-Carducci Publishers 2002
[3] 웹사이트 Gábor Bethlen in the Bethlen de Iktár family https://genealogy.eu[...]
[4] 웹사이트 Farkas Bethlen in the Bethlen de Iktár family https://genealogy.eu[...]
[5] 웹사이트 Druzsianna Lázár in the Lázár family https://genealogy.eu[...]
[6] 웹사이트 Stephen Lázár in the Lázár family https://genealogy.eu[...]
[7] 웹사이트 Borbála Bogáth in the Bogáthy family https://genealogy.eu[...]
[8] 웹사이트 János Bogáth in the Bogáthy family https://genealogy.eu[...]
[9] 웹사이트 Magdolna Bánffy in the Bánffy de Losoncz family https://genealogy.eu[...]
[10] 웹사이트 Apafi family https://genealogy.eu[...]
[11] 웹사이트 László Bánffy in the Bánffy de Losoncz family https://genealogy.eu[...]
[12] 웹사이트 Az Europai jelenlet alternativai, Bethlen Gabor fejedelemme valasztasanak evfordulojara. http://www.matud.iif[...] 2013-10-15
[13] 서적 Slovak History: Chronology & Lexicon https://books.google[...] Bolchazy-Carducci Publishers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